본문 바로가기
050. 산림치유지도사

011.10. 세신(細辛), 족도리풀 Asia Radix

by knoltzu 2021. 7. 18.
반응형

010. 해표약(解表藥)
   주로 땀을 내어 표(表)에 침입한 사기(邪氣)를 없애는 약(藥)

011. 발산풍한약(發散風寒藥) =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
   땀을 내어 표(表)에 침입한 풍한사(風寒邪)를 없애는 약(藥)
   소엽(차조기, 자소엽), 강활, 백지(구릿대), 세신(족도리풀)

 

011.10. 세신(細辛), Asia Radix


이명: 족도리풀, 소신, 세초, 세조, 녹수강

기원식물: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쥐방울과, 마두령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족도리풀(Asarum sieboldii MIQ.)의 뿌리 및 뿌리줄기

성상:
잎은 2장의 심장형으로 긴 엽병이 있고, 지하에 절이 있는 짧은 근경과 특유의 방향과 신미가 있는 뿌리를 갖는다.

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성분:
methyl eugenol, safrole, estragole, asarone, higenamine 등

효능: 진정, 진통, 해열, 항염, 평천, 강심작용 등


성미 / 귀경:
辛, 溫 / 心, 肺, 腎

효능·주치:
산한해표(散寒解表), 거풍습(祛風濕), 통규(通竅), 온폐화음 (溫肺化飮)

해설:
산한해표(散寒解表): 표부(表部)를 풀어주고 차가운 기운을 날려주는 효능
   소엽, 강활, 백지, 세신, 갈근, 독활
거풍습(祛風濕): 풍사(風邪),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효능
   강활, 백지, 세신, 독활, 위령선, 오두, 상기생, 오가피, 창출, 천궁, 백출, 음양곽, 당귀
통규(通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
   백지, 세신
온폐화음(溫肺化飮): 폐(肺)를 따뜻하게 하여 수음(水飮)을 없애는 효능임
   세신

주의사항:
복용량이 과다한 경우 안명홍조, 두훈, 다한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