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 이수삼습약(利水渗濕藥)
인체 내에 습(濕)을 원할하게 돌려서 소변 등으로 배출시키는 치료하는 약(藥)
061. 이수퇴종약(利水退腫藥)
이수(利水)하여 부종을 가라앉히는 약(藥)
복령, 저령, 의이인
061.01. 복령(茯苓) Hoelen
이명:
기원:
잔나비걸상과(다공균과, Polyporaceae), 복령 Poria cocos Wolf의 균핵
성상:
죽은 소나무 등의 뿌리에 기생하여 형성된 균핵으로 내면은 백색 또는 담홍색을 띈다.
산지: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며,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성분:
β-pachyman, pachimic acid 등
효능:
이뇨, 진정, 항암, 평활근이완 작용 등
성미 / 귀경:
甘淡, 平 / 心, 肺, 脾, 腎
효능·주치:
이수소종(利水消腫), 화습건비(化濕健脾), 조습화담(燥濕化痰), 영심안신(寧心安神)
해설:
이수소종(利水消腫): 이수(利水)하여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능
창출, 복령, 저령, 목통, 황기, 백출
화습건비(化濕健脾): 습열(濕熱)을 없애고, 비(脾)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
창출, 곽향, 복령
조습화담(燥濕化痰): 습(濕)을 없애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
복령, 반하, 천남성, 백출
영심안신(寧心安神): 심(心)을 편하게 하고 신(神)을 안심시키는 효능
복령, 인삼, 대조, 맥문동, 백합, 오미자
※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050. 산림치유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2.01. 차전자(車前子), 질경이 Plantaginis Semen (0) | 2021.07.24 |
---|---|
061.02. 저령(豬苓) Polyporus (0) | 2021.07.24 |
050.03. 곽향(藿香), 배초향 Agastachis Herba (0) | 2021.07.24 |
050.01. 창출(蒼朮), 삽주 Atractylodis Rhizoma (0) | 2021.07.24 |
043.04. 상기생(桑寄生), 뽕나무겨우살이 Taxilli Ramulus (0) | 2021.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