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담을 삭이거나(化痰), 해수 및 천식을 진정시켜(止咳平喘), 폐의 정상적 기능을 회복하는 작용.
131. 온화한담약(溫化寒痰藥)
기침에 의한 덩이진 가래를 소담하는 약(藥)
반하, 천남성, 백부자, 백개자, 선복화
131.01. 반하(半夏) Pinelliae Rhizoma
이명:
기원식물:
천남성과(Araceae), 반하(끼무릇) Pinelia ternata Breitenbach의 덩이줄기
성상:
지하의 구경은 직경 1~1.5cm이고 잎은 이들로부터 1~3매를 낸다.
산지:
동아시아 온대지방 원산으로 한국, 중국, 일본의 들, 논, 밭에 자생한다.
성분:
choline, l-ephedrine, β-sitosterol 등
효능:
진해, 최토, 구토억제 작용 등
성미 / 귀경:
辛, 溫 / 脾, 胃, 肺
효능·주치:
조습화담(燥濕化痰), 강역지구(降逆止嘔), 화담지해(化痰止咳), 연견산결(軟堅散結)
해설:
조습화담(燥濕化痰): 습사(濕邪)를 없애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
복령, 반하, 천남성, 백출
강역지구(降逆止嘔): 기가 치솟은 것을 내리고 구토를 멈추는 효능
반하
화담지해(化痰止咳): 담(化痰)을 없애고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능
차전자, 측백엽, 반하, 길경, 전호
연견산결(軟堅散結): 굳은 것을 유연하게 하고 뭉친 것을 흩어지게 하는 효능
반하, 천남성
주의사항:
有毒
※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050. 산림치유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2.01. 전호(前胡), 바디나물 Peucedani Radix (0) | 2021.07.26 |
---|---|
131.02. 천남성(天南星) Arisaematis Rhizoma (0) | 2021.07.26 |
120.15. 우슬(牛膝), 쇠무릎 Achyranthis Radix (0) | 2021.07.26 |
120.04. 현호색(玄胡索) Corydalis Tuber (0) | 2021.07.26 |
120.01. 천궁(川芎) Cnidii Rhizoma (1) | 2021.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