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50. 산림치유지도사

174.07. 백합(百合) Lilii Bulbus

by knoltzu 2021. 7. 27.
반응형

170. 보익약(補益藥)

   인체의 기혈음양(氣血陰陽)이 부족한 것을 보양하여 각종 허증(虛症)을 치료하는 약(藥)

 

171. 보기약(補氣藥)

   원기를 북돋우는 약()

   인삼, 황기, 백출, 산약, 감초, 대조, 봉밀

 

172. 보양약(補陽藥)

   양()을 보하는 약()

   녹용, 음양곽, 동충하초, 호도인, 해구신, 사상자

 

173. 보혈약(補血藥)

   혈액을 풍부하게 하는 약()

   당귀, 숙지황, 백작약, 하수오, 아교

 

174. 보음약(補陰藥)

   음정(陰精)을 강화하고 자양하는 약()

   사삼, 맥문동, 옥죽, 황정, 백합, 구기자, 

 

 

174.07. 백합(百合)  Lilii Bulbus

 

이명:

 

기원식물:

백합과(Liliaceae), 백합(참나리) Lilium lancifloium THUNBERG의 비늘줄기

 

성상:

잎은 광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꽃은 다수로 등적색이고 진한 반점이 안쪽에 있다.

 

 

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자생한다.

 

성분

regaloside A, D, brownioside, deacylbrownioside 등

 

효능:

진해, 항피로, 항위궤양 등

 

 

성미 / 귀경:

, 微寒 / 心, 肺

 

효능·주치:

윤폐지해(潤肺止咳), 영심안신(寧心安神)

 

해설:

윤폐지해(潤肺止咳): 폐(肺)를 적셔주고 해수(咳嗽)를 멎게 하는 효능

   호도인, 사삼, 맥문동, 옥죽, 백합, 오미자

영심안신(寧心安神): 심(心)을 편하게 하고 신(神)을 안심시키는 효능

   복령, 인삼, 대조, 맥문동, 백합, 오미자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