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50. 산림치유지도사

022.03. 황백(黃柏), 황벽나무 Phellodendri Cortex

by knoltzu 2021. 7. 20.
반응형

020. 청열약(淸熱藥)
이열증(裏熱證)을 치료하는 약(藥)

021. 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
장부와 경맥의 열과 화를 없애며 이열증(裏熱證)을 치료하는 약(藥)
하고초(꿀풀)

022. 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
열과 습사(濕邪)를 없애는 한약이다.
황금, 황백, 용담초, 고삼

022.03. 황백(黃柏), 황벽나무 Phellodendri Cortex

 

이명:

기원식물:
운향과(Rutaceae), 낙엽교목인 황벽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의 수피

성상:
수피는 회색 또는 회갈색으로 깊이 갈라져 있고, 코르크층이 발달되어 있으며 안쪽에는 황색의 피부가 있다. 높이는 20m에 달한다.

산지:
우리나라, 동아시아 북부, 일본 각지의 산지에 자생하는 낙엽성 교목이다.

성분:
berberine, palmatine, jatrorrhizine, phellodendrin 등

효능:
항균, 항궤양, 혈압강하, 항부정맥 작용 등

 


성미 / 귀경:
苦, 寒 / 腎, 膀胱, 大腸

 

효능·주치:
청열조습(淸熱燥濕), 청열해독(淸熱解毒), 청퇴허열(淸退虛熱)

해설:
청열조습(淸熱燥濕): 열기를 식히고 습기를 말리는 효능
황금, 황백, 용담초, 고삼, 포공영, 대황
청열해독(淸熱解毒): 열사(熱邪)를 없애고 열독을 제거하는 효능
황금, 황백, 금은화, 연교, 포공영, 어성초, 청호
청퇴허열(淸退虛熱): 허열(虛熱)을 제거하는 효능
황백

주의사항:
비위허한자(脾胃虛寒者)는 복용을 기(忌)한다.

 


※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