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50. 산림치유지도사

022.04. 용담초(龍膽草), 용담 Gentianae Scabrae Radix

by knoltzu 2021. 7. 20.
반응형

020. 청열약(淸熱藥)
   이열증(裏熱證)을 치료하는 약(藥)

 

021. 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
   장부와 경맥의 열과 화를 없애며 이열증(裏熱證)을 치료하는 약(藥)

   하고초(꿀풀)

 

022. 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
   열과 습사(濕邪)를 없애는 한약이다. 
   황금, 황백, 용담초, 고삼

 

 

022.04. 용담초(龍膽草), 용담  Gentianae Scabrae Radix

 

이명:

초용담, 지담초, 담초

 

기원식물:

용담과(Gentianaceae), 다년생 초본인 용담 Gentiana scabra BUNGE.의 뿌리, 뿌리줄기

 

성상:

잎은 대생하며 난상피침형으로 3형맥이고 높이 15~60cm 정도이다.

 

 

산지:

중국, 한국, 일본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산림의 초원지대에 많이 자생한다.

 

성분:

gentiopicrin, gentianine, sweroside 등

 

효능:

항염, 간기능 보호, 이담, 위액분비 촉진, 이뇨, 항균 작용 등

 

 

성미 / 귀경:

苦, / 肝, 膽

 

 

효능·주치:

청열조습(淸熱燥濕), 평간잠양(平肝潛陽), 식풍지경(熄風止痙)

 

해설:

청열조습(淸熱燥濕): 열기를 식히고 습기를 말리는 효능

   황금, 황백, 용담초, 고삼, 포공영, 대황

평간잠양(平肝潛陽): 간(肝)의 기운을 조화롭게 유지하여 비정상적으로 부월(浮越)하는 양사(陽邪)를 잠재우는 효능

   하고초, 용담초, 우슬, 작약, 구기자

식풍지경(熄風止痙): 내풍(內風)을 치료하여 경련(痙攣)을 진정시키는 효능 

   용담초

 

 

※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