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 청열약(淸熱藥)
이열증(裏熱證)을 치료하는 약(藥)
021. 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
장부와 경맥의 열과 화를 없애며 이열증(裏熱證)을 치료하는 약(藥)
하고초(꿀풀)
022. 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
열과 습사(濕邪)를 없애는 약(藥)
황금, 황백, 용담초, 고삼
023. 청열양혈약(淸熱涼血藥)
혈분(血分)에서 사열(邪熱)을 없애는 약(藥)
생지황, 적작약
024.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
열을 내리고 독을 제거하는 약(藥)
금은화, 연교, 포공영, 어성초
024.01. 금은화(金銀花), 인동 Lonicerae Flos
이명: 금은화, 은화, 금화
기원식물: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 Lonicera japonica THUMB.의 꽃봉오리
성상:
잎은 대생하며 장타원형이고 줄기는 길며 타식물을 감고 올라간다.
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의 산야에 자생하는 덩굴성 관목이다.
성분:
chorogenic acid, lonicerin 등
효능:
해열, 혈중지질강하, 항염,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 등
최근 코로나19 대응해서 항바이러스 작용을 활용해 사용되었던 한약재이다.
성미 / 귀경:
甘, 寒 / 心, 肺, 胃
효능·주치: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산풍열(疏散風熱)
해설:
청열해독(淸熱解毒): 열독(熱毒)이 몰려서 생긴 외과 질병과 온역(瘟疫), 온독(溫毒)을 치료하는 효능
황금, 황백, 금은화, 연교, 포공영, 어성초
소산풍열(疏散風熱): 풍열(風熱)의 독(毒)을 발산(發散)하여 해소하는 효능
갈근, 상엽, 금은화, 연교, 전호
참고:
024.21. 인동등(Lonicerae Caulis, 인동(Lonicera japonica THUMB.)의 줄기
※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050. 산림치유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4.03. 포공영(蒲公英), 민들레 Taraxaci Herba (4) | 2021.07.21 |
---|---|
024.02. 연교(連翹), 의성개나리 Forsythiae Fructus (1) | 2021.07.21 |
022.05. 고삼(苦蔘), 도둑놈의지팡이 Sophorae Radix (0) | 2021.07.20 |
022.04. 용담초(龍膽草), 용담 Gentianae Scabrae Radix (0) | 2021.07.20 |
022.03. 황백(黃柏), 황벽나무 Phellodendri Cortex (0) | 2021.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