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보익약(補益藥)
인체의 기혈음양(氣血陰陽)이 부족한 것을 보양하여 각종 허증(虛症)을 치료하는 약(藥)
171. 보기약(補氣藥)
원기를 북돋우는 약(藥)
인삼, 황기, 백출, 산약, 감초, 대조, 봉밀
171.04. 백출(白朮) Atractylodis Rhizoma Alba
이명:
기원식물:
국화과(Compositae), 백출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 등의 뿌리줄기
성상: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다.
산지: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각지에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성분:
atractylol, atractylon, junipercamphor, atractylolide 등
효능:
이뇨, 항위궤양, 항암, 항균, 혈당강하 작용 등
성미 / 귀경:
苦甘, 溫 / 脾, 胃
효능·주치:
보비익기(補脾益氣), 조습화담(燥濕化痰), 이수소종(利水消腫), 고표지한(固表止汗), 안태(安胎), 거풍습(祛風濕)
해설:
보비익기(補脾益氣): 건비(健脾)시키서 補氣하는 효능
창출, 인삼, 황기, 백출, 산약, 대조
조습화담(燥濕化痰): 습사(濕邪)를 없애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
복령, 반하, 천남성, 백출
이수소종(利水消腫): 이수(利水)하여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능
창출, 복령, 저령, 목통, 황기, 백출
고표지한(固表止汗): 표(表)를 조밀하게 하여 땀을 멈추는 효능
황기, 백출
안태(安胎): 임신부나 태아 자체의 원인으로 임신이 중절되려는 것을 치료하는 효능
소엽, 황금, 상기생, 백출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 風邪와 濕邪)을 제거하는 효능
강활, 백지, 세신, 독활, 위령선, 오두, 상기생, 오가피, 창출, 천궁, 백출, 음양곽, 참당귀
※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050. 산림치유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1.08. 대조(大棗), 대추 Jujubae Fructus (0) | 2021.07.27 |
---|---|
171.05. 산약(山藥), 마 Dioscoreae Rhizoma (0) | 2021.07.27 |
171.03. 황기(黃芪) Astragali Radix (0) | 2021.07.27 |
171.01. 인삼(人蔘) Ginseng Radix (0) | 2021.07.26 |
132.02. 길경(桔梗), 도라지 Platycodi Radix (0) | 2021.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