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50. 산림치유지도사

171.08. 대조(大棗), 대추 Jujubae Fructus

by knoltzu 2021. 7. 27.
반응형

170. 보익약(補益藥)

   인체의 기혈음양(氣血陰陽)이 부족한 것을 보양하여 각종 허증(虛症)을 치료하는 약(藥)

 

171. 보기약(補氣藥)

   원기를 북돋우는 약()

   인삼, 황기, 백출, 산약, 감초, 대조, 봉밀

 

 

171.08. 대조(大棗), 대추  Jujubae Fructus

 

이명:

 

기원식물:

갈매나무과(서이과, Rhamnaceae), 대추 zizyphus jujuba Mill. var. inermis REHD.의 열매

 

성상:

가지에는 가시가 있으며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난형이다. 

 

산지:

중국 원산으로 아시아 서남부에서 유럽 남부에 걸쳐 분포한다. 

 

성분

zizyphuso saponin Ⅰ, Ⅱ, Ⅲ, jujuboside B 등

 

효능:

항암, 진해거담, 항산화 작용 등

 

 

성미 / 귀경:

甘, / 脾, 胃

 

효능·주치:

보비익기(補脾益氣), 영심안신(寧心安神), 조화약성(調和藥性)

 

해설:

보비익기(補脾益氣): 건비(健脾)시키서 補氣하는 효능
   창출, 인삼, 황기, 백출, 산약, 대조

영심안신(寧心安神): 심(心)을 편하게 하고 신(神)을 안심시키는 효능
   복령, 인삼, 대조, 맥문동, 백합, 오미자

조화약성(調和藥性): 여러가지 약을 성질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

   대조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