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보익약(補益藥)
인체의 기혈음양(氣血陰陽)이 부족한 것을 보양하여 각종 허증(虛症)을 치료하는 약(藥)
171. 보기약(補氣藥)
원기를 북돋우는 약(藥)
인삼, 황기, 백출, 산약, 감초, 대조, 봉밀
172. 보양약(補陽藥)
양(陽)을 보하는 약(藥)
녹용, 음양곽, 동충하초, 호도인, 해구신, 사상자
173. 보혈약(補血藥)
혈액을 풍부하게 하는 약(藥)
당귀, 숙지황, 백작약, 하수오, 아교
173.01. 당귀(當歸), 참당귀 Angelicae Gigantis Radix
이명:
기원식물:
미나리과(산형과, Umbelliferae),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
성상:
잎은 1~2회 3출하며 꽃은 자색으로 8~9월에 피며 복산형화서이다.
산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만주, 일본의 산지에 자생하는 3년생 초본이다.
성분:
decursin 등
효능:
혈관이완, 항부정맥, 항혈전, 혈중지질강하, 진통, 항염, 간보호, 항암 작용 등
성미 / 귀경:
辛苦, 溫 / 心, 肝, 脾
효능·주치:
보혈(補血), 양혈조경(養血調經), 활혈거어(活血祛瘀), 거풍습(祛風濕), 윤장통변(潤腸通便)
해설:
보혈(補血): 혈(血)이 허한 것을 보(補)하는 효능
참당귀, 지황, 작약
양혈조경(養血調經): 혈(血)을 보(補)하여 월경 불순을 치료하는 효능
당귀(중국,일), 지황
활혈거어(活血祛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어혈(瘀血)을 없애는 효능
대황, 산사, 대계, 천궁, 현호색, 우슬, 당귀(참당귀), 작약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 風邪와 濕邪)을 제거하는 효능
강활, 백지, 세신, 독활, 위령선, 오두, 상기생, 오가피, 창출, 천궁, 백출, 음양곽, 참당귀
윤장통변(潤腸通便): 장(腸)을 부드럽게 하여 대변(大便)을 통하게 하는 효능
호도인, 참당귀, 하수오
참고:
당귀 중 중국당귀(A. sinensis (Oliv.) Diels)와 일당귀(A. acutiloba Kitag.)는 조혈작용이 크고, 참당귀는 활혈작용이 큰 특징이 있다.
※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050. 산림치유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3.03. 작약(芍藥) Paeoniae Radix (0) | 2021.07.27 |
---|---|
173.02. 숙지황(熟地黃), 지황 Rehmanniae Radix Preparata (0) | 2021.07.27 |
172.29. 사상자(蛇床子) Cnidii Fructus (1) | 2021.07.27 |
172.18. 호도인(胡桃仁), 호두나무 Juglandis Semen (0) | 2021.07.27 |
172.08. 음양곽(淫羊藿), 삼지구엽초 Epimedii Herba (0) | 2021.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