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보익약(補益藥)
인체의 기혈음양(氣血陰陽)이 부족한 것을 보양하여 각종 허증(虛症)을 치료하는 약(藥)
171. 보기약(補氣藥)
원기를 북돋우는 약(藥)
인삼, 황기, 백출, 산약, 감초, 대조, 봉밀
172. 보양약(補陽藥)
양(陽)을 보하는 약(藥)
녹용, 음양곽, 동충하초, 호도인, 해구신, 사상자
173. 보혈약(補血藥)
혈액을 풍부하게 하는 약(藥)
당귀, 숙지황, 백작약, 하수오, 아교
173.03. 작약(芍藥) Paeoniae Radix
이명:
기원식물:
미나리아패비과(모란과, Ranunculaceae),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AS의 뿌리
성상:
잎은 호생하고 2회 3출복엽이며 작은 잎은 3갈래로 갈라진다.
산지:
동아시아 원산으로 우리나라, 중국, 시베리아에 분포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성분:
paeoniflorine, oxypaeoniflorine, paeonol 등
효능:
면역증강, 중추신경계 억제, 평활근 이완,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등
성미 / 귀경:
苦酸, 微寒 / 肝, 脾
효능·주치:
보혈(補血), 활혈거어(活血祛瘀), 소간해울(疏肝解鬱), 평간잠양(平肝潛陽), 수렴고삽(收斂固澁)
해설:
보혈(補血): 혈(血)이 허한 것을 보(補)하는 효능
참당귀, 지황, 작약
활혈거어(活血祛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어혈(瘀血)을 없애는 효능
대황, 산사, 대계, 천궁, 현호색, 우슬, 당귀(참당귀), 작약
소간해울(疏肝解鬱): 간기(肝氣)가 정체된 것을 흩어지게 하는 효능
천궁, 현호색, 작약
평간잠양(平肝潛陽): 간(肝)의 기운을 조화롭게 유지하여 비정상적으로 부월(浮越)하는 양사(陽邪)를 잠재우는 효능
하고초, 용담초, 우슬, 작약, 구기자
수렴고삽(收斂固澁): 기혈진액(氣血津液)이 밖으로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막는 효능
작약, 오미자, 산수유, 복분자
※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050. 산림치유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4.01. 사삼(沙參), 잔대 Adenophorae Radix (0) | 2021.07.27 |
---|---|
173.04. 하수오(何首烏) Polygoni Multiflori Radix (0) | 2021.07.27 |
173.02. 숙지황(熟地黃), 지황 Rehmanniae Radix Preparata (0) | 2021.07.27 |
173.01. 당귀(當歸), 참당귀 Angelicae Gigantis Radix (2) | 2021.07.27 |
172.29. 사상자(蛇床子) Cnidii Fructus (1) | 2021.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