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50. 산림치유지도사

183.04. 산수유(山茱萸) Corni Fructus

by knoltzu 2021. 7. 27.
반응형

180. 수삽약(收澁藥)

   정기(精氣)가 흩어지고, 흐르고 떨어져 나간 것을 수렴(收斂)하는 효과를 지닌 약()

 

181. 지한약(止汗藥)

   땀이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하는 약(藥)

 

182. 지사약(止瀉藥)

   설사를 멎게 하는 약(藥)

 

183. 삽정축뇨지대약(澁精縮尿止帶藥)

   유정(遺精)을 다스리고, 잦은 소변을 치료하며, 대하(帶下)를 멈추게 하는 약(藥)

   오미자, 산수유, 상표초, 복분자

 

 

183.04. 산수유(山茱萸)  Corni Fructus

 

이명:

 

기원식물:

층층나무과(Cornaceae), 산수유나무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의 열매

 

성상:

잎은 대생하며 단엽으로 뒷면의 엽맥이 뚜렷히 보인다.

 

산지:

우리나라 중부지방 각지에서 재배되는 낙엽성 교목이다. 

 

성분

verbenalin, saponin, tannin, strychnine 등

 

효능:

면역증강, 혈당강하, 항염 작용 등

 

 

성미 / 귀경:

, 微溫 / 肝, 腎

 

효능·주치:

보간신음(補肝腎陰), 수렴고섭(收斂固攝)

 

해설:

보간신음(補肝腎陰): 간음(肝陰)과 신음(腎陰)을 보익(補益)하는 효능

   지황, 구기자, 산수유

수렴고섭(收斂固攝): 체내의 장기와 혈액, 精, 津液, 汗, 尿 등의 代謝産物에 대하여 제어하고 섭납(攝納)하는 효능

   산수유, 복분자

 

 

위 내용은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2021)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산림치유지도사 1급 양성교재 개정본, 산림청 산림교육치유과, 2021

종합 약용식물학,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학창사, 2001

본초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영림사, 2007

 

반응형

댓글